콘텐츠로 건너뛰기

몬티 파이선과 성배 (10/10)

  • yoda 

1975년에 제작된 이 작품은, 그러니까 무려 45년 전에 만들어진 이 작품은 보는 내내 경이로울 정도로 신선하고 재밌었다.

어쩌면 올해 내가 본 영화 중에 가장 재미있는 작품이고 가장 뛰어난 작품일 지도 모르겠다.

영상이 나오기 전부터 심상치 않았다. 여름 휴가는 스웨덴이 좋겠다, 무스가 7만 마리가 등장했다는 등 자막에 장난질을 시작하더니만 말 타는 흉내를 내며 어리숙한 아서왕이 등장하자 마자 나는 잠이 확 깼다.

45년 전의 작품이니 서사의 전개나 스토리가 현대 영화에 비해 느리거나 단순할 법 한데, 그런 이질감은 전혀 없었다. 그리고 연극이나 오페라, 책에서 빌려온 듯한 장과 막의 구조에 뒤섞인 애니메이션과 이미지의 콜라주도 매우 잘 어울렸다. CG의 수준은 낮지만 그 역시 영화의 특이한 구성과 맞물려 우습지 않게 보였다.

내게 이 영화가 특히 재밌었던 점은 사람들의 고정 관념에 대해 계속해서 의문을 던지고 그에 반하는 반전을 만들어 냈기 때문이다. 정상과 비정상, 상식과 광기, 일반적인 것과 특이한 것의 이분법을 끊임없이 붕괴시키며 스토리를 이어갔다.

예를 들면 이런 장면이다.

초반부에 등장하는 흑기사는 팔이 잘리고 다리가 잘려도 자신의 패배를 인정하지 않는다. 흑기사는 패배한 것인가? 승리와 패배는 어떻게 다를까?

브리튼을 대표하는 아서왕이라는 소개에 농노들은 권력은 민중이 위임하는 것이고 자신들은 자치주의 콤뮌을 이뤄 과반의 합의를 통해 의사결정을 하고 있다고 대답한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것과 달리 중세가 영주와 농노로만 구성된 사회가 아니라고 소리치는 것처럼 들렸다.

멀쩡한 결혼식장을 피바다로 만든 기사 랜슬럿을 보라. 탑에 갇혀 있으니 구해달라는 메세지를 받고서 (정말로 아무 생각 없이) 닥치는 대로 사람들을 베는 모습을 보고 있자면 상식이 얼마나 위험한 것으로 바뀔 수 있는 지 경고하는 듯 하다. 심지어 랜슬럿은 그가 당연히 공주였을거라고 이야기했다.

기사들을 한 순간에 해치우는 전설적인 괴물의 정체는 흰 털에 큰 귀를 갖고 폴짝 폴짝 뛰어다니는 작은 토끼였다. 기사단은 괴물의 정체가 드러나자 어이없는 비웃음과 함께 총공격을 감행하지만 토끼의 공격에 순식간에 괴멸당한다.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는 무엇인가.

관련 글  도어락 (2/10)

이런 물음은 영화가 끝날 때까지 계속 반복되어 마침내 영화 자체가 살인 사건의 용의자를 체포하는 장면으로 마무리된다. 영화인지 아닌지 되묻는 것인가라고 의심하며 ‘여기서 끝나면 딱 좋겠다’라고 생각했는데, 그 순간 엔딩 크레딧이 올라갔다.

소름끼치게 완벽한 작품이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