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시집. 걸었던 자리마다 별이 빛나다

  • yoda 

ㅐ최근 몇 년은 책을 많이 읽지 못했고 특히 시집은 일년간 열권도 읽지 못했습니다. 지난 번 김승희의 시를 읽으면서 새로운 시인과 시구를 발견하는 것이 얼마나 재미있는 일인지 다시 알게 됐습니다.

박형준과 이장욱이 엮은 시집 ‘걸었던 자리마다 별이 빛나다’입니다.

시 ‘가구의 힘’과 시집 ‘나는 이제 소멸에 대해서 이야기하련다’를 통해 박형준 시인은 제가 손에 꼽는 시인이 되었습니다. 박형준 시인의 시를 읽으면 스산한 겨울 공원 벤치에서 먼지를 털고 일어나는 남자의 모습이 그려집니다. 그 눈에는 눈물이 그렁 그렁하죠.

어떤 시를 골랐을까 궁금해 하며 시집을 읽었습니다.

최영철 시인의 ‘성탄 전야’가 가장 놀라운 작품이었습니다. 이렇게 예쁜 말로 그려낸참혹한 일상이라니. 이렇게 차갑고 무섭게 표현할 수 있구나.

성탄 전야

맛난 것 먹고 빵빵해진 일가족 오색 풍선 따라
땡그랑 땡그랑 배고프다 노래하는 자선냄비 따라
행복 몇 스푼 눈발로 내리고 있었대요
더운 국물이나 마셔두려는 가난한 식탁에
저 멀리 하늘에서 뭉텅뭉텅 수제비 알로 오시다가
하얀 쌀 소록소록 눈발로 오시다가
그만 내려앉을 곳 잃고
성탄 폭죽 선물꾸러미 어깨 위로 내리고 있었대요
하얀 쌀 수제비 빈 장독에 닿기를 기다리다
네살 두살 아이 재워두고 엄마는 술집 나가고
아빠는 인형 뽑으러 가셨대요
인형 다 뽑으면 시름 다 가고 꿈 같은 새날 온다며
아이들 깰까봐 살금살금 문 잠그고 가셨대요
꿈결 아이들 구름 타고 다니며
하얀 쌀 수제비 받아 붕어빵 빚고 산새로 날리고
불살라 언 손발 쬐며 다 녹여버리고
엄마 아빠 오시면 야단맞을까봐
그 불길 따라 하늘로 하늘로 올라갔었대요
소방차 오고 아빠는 눈이 커다란
눈사람 인형 한아름 뽑아오셨대요
아이들 훨훨 날개를 단 줄 모르고
엄마는 실비주점 더러워진 접시를 닦으며
유행가 한자락 흥얼거리고 있었대요

최영철

성탄 전야 눈이 펑펑 내리는데 엄마는 돈 벌러 술집 주방에 나가 설겆이를 하고 아빠는 아이들 선물 주려고 인형을 뽑으러 갔습니다. 추위에 깬 아이들은 방안에서 성냥불로 불을 냈고 그렇게 죽어갔습니다. 그런 상상의 끝에서 그만큼 참혹한 현실이 우리 주위에 있음을 되새기게 됐습니다.

관련 글  소설. 앙테크리스타, 불쏘시개. 아멜리 노통브

나희덕 시인의 ‘너무 늦게 그에게 놀러 간다’도 좋았습니다..


조등 하나
꽃이 질 듯 꽃이 필 듯
흔들리고, 그 불빛 아래서
너무 늦게 놀러 온 이들끼리 술잔을 기울이겠지.

나희덕

놀러 오라던 친구가 죽었습니다. 너무 늦게 간 것이죠. 혹은 한번 더 보고 싶었는 데 그러지 못한 상황일 수도 있겠고요. 생각보다 아름다운 풍경이 떠 올랐습니다.

고형렬 시인의 ‘맹인 안내견과 함께’입니다.


나 이 세상에 다시 태어난다면
저 맹인안내견으로 한 생 살다가
죽어서
그다음엔
다시 이 세상에 안 와졌으면
했다

다시는
이 세상이 미워서도 싫어서도 아닌데
돌아오고 싶지 않다

고형렬

이시영 시인의 ‘최명희 씨를 생각함’은 두 노작가의 인연을 엿보는 것만으로도 재미있었습니다. ‘혼불’의 최명희 맞습니다.

…도곡동 아파트가 가까워지자 그가 갑자기 내 손을 잡고 울먹였다. “이형, 요즈음 내가 한달에 얼마로 사는 지 알아? 삼만원이야, 삼만원…… 동생들이 도와주겠다고 하는데 모두 거절했어. 내가 얼마나 힘든지 알어?” 고향친구랍시고 겨우 내 손을 잡고 통곡하는 그를 달래느라 나는 그날 치른 학생들의 기말고사 시험지를 몽땅 잃어버렸다…

이시영

김태정 시인의 ‘낯선 동행’은 우리의 어떤 젊은 한 때를 보는 것 같아 회상에 잠겼습니다.

오년 뒤엔 뭐 하고 있을 거냐고 그가 물었다…그의 쓸쓸한 의도를 알라차려 문득 슬픈 나는 오년 뒤 서른다섯.

…그를 비껴간 대답이 어색하나마나 그에 대한 배려라고 생각했을 뿐, 그때 나는 서투르고도 어수룩한 갓 서른이었으므로.

오년 뒤를 물어보던 그 폐허에서 그를 비껴간 대답처럼 그의 절망을 비껴간 나는 여전히 할 말이 없어 부끄럽고.

김태정

비 가는 소리에 잠 깼다

가는 소리 들리니 왔던 게 틀림없지
밤비뿐이랴
젊음도 사랑도 기회도
오는 줄은 몰랐다가 갈 때 겨우 알아차리는

왔던 것은 가고야 말지
사랑도 밤비도 사람도 … 죄다.

유안진

맹문재 시인의 ‘안부’에서는 누군가의 주름진 손과 말투가 생각났습니다.

시골에서 생전 듣지도 보지도 못했던
췌장암이 믿기지 않아
서울의 큰 병원에 확인검사를 받으려고 올라오신 큰 고모님
차에서 내리자마자

여기 문재가 사는데, 문재가 사는데…

나는 서울의 구석에 처박혀 있어
어디에서도 찾기 어려운데
어디에서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하신 것일까

내게 부담된다고 아무 연락도 안하고
하늘까지 그냥 가신 큰고모님

아귀다툼의 이 거리를 헤치고 출근하다가 문득
당신의 젖은 손 같은 안부를 듣는다.

맹문재

시집의 제목이 맘에 듭니다. 당신도 나도 아닌, 우리가 걸었던 길이 사실은 늘 빛났다고 생각하는 시인(들)의 온기가 부럽습니다. 성탄전야에 하늘로 올라가버린 아이들이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삶은 빛나야 하고 빛나는 삶을 위해 고칠 건 고쳐야 한다고 전하는 의지도 드러나고요.

관련 글  만화. 분노의 늑대

내일 아침 병원 진료와 대장 내시경 검사를 위해 텅 비운 속을 달래듯 마음을 위로해 봅니다. 사는게 싫지도 좋지도 않은데 저도 다시는 세상에 오고싶지 않습니다.

태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