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승진의 원천은 무능력?

  • yoda 

사내 인트라넷에 아주 재밌는 글이 올라왔습니다.
안분지족을 서양식으로 표현한 걸까요?
🙂

{피터의 원리는 능력과 무능력에 대한 기존 개념을 과감하게 타파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남북전쟁 때 북군의 장군이었던 리처드 테일러는 ‘7일간의 전쟁’에 관해 언급하면서 “남군 지휘자들은 남군의 수도였던 리치몬드시 부근의 지형조차 잘 모르고 있었다”라고 말했다. 몇년전 다리와 건물이 붕괴되는 사고 뒤에는 무능하고 무책임한 관련자들이 있었다는 사실에 많은 사람들이 분개하였다. 때로는 “저 사람은 어떻게 저런 능력으로 저 자리까지 올라갔을까?” 하는 생각이 들 때도 있다.
이와 같이 역사적으로나 우리 일상에서 무능력·무책임이 발현되는 사례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우리는 많은 불편을 겪게 되고 막대한 비용을 지출하게 된다. 그렇지만 이러한 무능력은 사라지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무능한 사람들이 계속 승진하고 성공하는 모순이 발생하고 있다.
{무능력의 원천은 승진}
그렇다면 무능력이 도처에 존재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대부분의 사람들은 무능과 유능은 개인의 역량에 달려있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콜럼비아 대학 교수였던 Laurence J. Peter와 작가인 Ramond Hull은 우리 사회의 무능이 개인보다는 위계 조직의 메커니즘에서 발생한다고 말하고 있다.
이들은 수백 건에 달하는 무능력 사례를 분석한 뒤 무능력의 원인을 해명한 피터의 원리를 제시하였다. 이들이 제시한 원리의 핵심은 “조직체에서 모든 종업원들은 자신의 무능력이 드러날 때까지 승진하려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즉, 위계 조직내의 구성원들은 한 번 또는 두 번의 승진을 통해 자신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상위 직책을 맡게 된다. 그리고 승진된 직책에서 다시 능력을 발휘하면 다시 상위 직급으로 승진할 기회를 잡게 된다. 따라서 모든 개인들은 자신의 무능력이 드러나는 단계까지 승진하게 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직위는 그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은 구성원들에 의해 채워지는 경향을 갖는다는 것이다. 결국 모든 사람들에 있어 마지막 승진이란 유능한 단계에서 무능한 단계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한다.
{창조적 무능력을 개발해야}
자신의 능력을 넘어서는 지위까지 승진하게 되면 그 사람은 그것이 자신의 최종 직위임을 직감적으로 알게 된다. 이러한 사실을 알고 인정하게 된다는 것은 본인으로서는 고통스러운 노릇이 아닐 수 없다. 그래서 그들은 애써 자신의 무능력을 인정하지 않으려 하며 현재의 무능력은 자기가 게을러진 탓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그들은 보다 열심히 일함으로써 새로운 직위에 따른 어려움을 극복해 보고자 한다. 그렇기 때문에 점심시간에도 일에 매달려 정신이 없고 어떤 때는 일거리를 들고 집에 가지고 가기도 한다. 또한 자신의 무능을 감추려고 다양한 시도를 한다. 예를 들어, 서류 업무에만 열중함으로써 열심히 일한다는 인상을 주려고 한다거나, 내용이 없는 말을 장황하게 늘어 놓는 등의 행동을 하는 것이다. 그렇다고 무능력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피터의 원리에 근거하면 보다 행복한 삶은 자신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수준의 성공에 만족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수준 이상의 승진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Peter와 Hull은 말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정리 정돈을 제대로 하지 않는다든지, 외모에 신경을 쓰지 않는다든지, 갖가지 괴벽을 과시하는 등의 ‘창조적 무능력’을 발휘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승진의 대열에서 멀어지라고 말하고 있다. 자신을 무능력하게 만들고 마는 끝없는 승진에 집착하기 보다는 유능한 구성원으로 남을 수 있는 수준에 머무르는 것이 더 높은 만족감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피터의 원리가 주장하는 역설적 사고는 치열하고 바쁜 일상 속에 있는 우리에게 한가닥의 여유를 제공한다. 하지만 비록 이러한 원리가 맞다고 하더라도 승진이 안되면 자리에서 물러나야 하는 우리 문화 속에서 이러한 주장대로 살아간다는 것은 쉽지 않을 것 같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