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산문. 소유란 무엇인가. 조제프 크루동

이토록 힘찬 아나키의 근본이여.

어제부터 읽기 시작한 피에르 조제프 프루동의 소유란 무엇인가에 감명 받고 있습니다.

1장의 첫구절을 잠깐 보세요.

만일 내가 <노예제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답해야만 한다면, 그래서 내가 한마디로 <그것은 살인이다>라고 답한다면, 나의 생각은 당장 이해될 것이다. 인간에게서 사상, 의지, 그리고 인성을 빼앗을 수 있는 권력은 곧 생사여탈의 권력이며, 한 인간을 노예로 만드는 것은 그를 살해하는 것과 다름없다는 사실을 보여주기 위해서 굳이 군말이 필요 없을 것이다. 그런데 나는 왜 <소유란 무엇인가?>라는 또 하나의 질문에 대해 <그것은 도둑질이다>라고 마찬가지로 답할 때마다, 내 답변이 잘 전달되지 못했다는 노파심에 시달려야 하는 것일까? 두번째 명제는 사실상 첫번째 명제가 모양을 바꾼 것에 불과한 데도 말이다.

나는 우리의 정부와 제도들의 원리 그 자체, 즉 소유의 문제를 논하려고 한다. 이것은 나의 권리이다. 나의 연구에서 도출되는 결론이 틀릴 수도 있다. 이것도 나의 권리이다. 이 책의 끝에 가서 도달한 사유를 나는 책의 첫머리에 놓고자 한다. 이 역시 나의 권리이다.

이렇게 명료하고 힘차게 자신을 펼쳐보이는 글을 근래에 읽은 적이 없습니다.
틀릴 수도 있지만, 그것도 나의 권리이다 – 이 얼마나 당당합니까.

언어학과 인문학을 거쳐 철학, 그리고 소유에 대한 근원적인 고찰.
프루동 역시 천재였습니다.

아나키즘이 – 어쩌면 인간이 선택할 수 있는 가장 ‘정치적으로 올바른’ 정치일런 지도 모르는- 이렇게 근근히 명맥만을 유지하는 가장 큰 이유는,
모든 아나키스트들이 너무 뛰어난 지적 능력을 가지고 있는 탓일 지도 모르겠습니다.

사물에 대한 직관적인 통찰력이 타인을 두렵게 만들었던 게지요.
또한 그들은 너무 민감하고 부드러웠습니다.
그래서 그 순수한 감수성과 오감으로 시를 쓰고 소설을 쓸 수는 있었지만,
‘역사’를 쓸 수는 없었습니다.

히틀러나 스탈린, 부시 같은 ‘배부른 돼지들’에 비하자면 바쿠닌과 크로포트킨, 프루동은 ‘배고픈 현인’쯤 되지 않을까요?
그러고 보니 ‘혁명가’라면 응당 지녀야 할 강철의 의지, 그것은 아나키스트와는 어울리지 않습니다

관련 글  옛 마을을 지나며.김남주

ps. 출근하자마자 일찍 퇴근하여 푸르동에 한껏 빠져들고 싶다는 생각이 드니 대략 우울한 하루가 될 듯.
🙁

“산문. 소유란 무엇인가. 조제프 크루동”의 1개의 댓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