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합니다.
로드무비이자 버디 무비는 웬만하면 재미가 보장되는 장르입니다만, 이 작품은 미국 흑인과 백인이라는 뻔하디 뻔한 재료를 가지고 정말 멋지고 맛있게 만든 요리입니다.
1960년대 미국은 인종 차별이 극심하던 때였습니다. ‘히든 피겨스‘ 역시 비슷한 시기의 작품이었죠.
브롱크스(여기는 지금도 위험한)에서 온 이탈리아계 미국인 운전사 겸 보디가드 토니 발레롱가와 흑인 피아니스트 돈 셜리의 진정한 우정을 그리고 있는데, 종종 웃기면서 가슴 아픈 순간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 정치적인 올바름이 제대로 기능하지 않는 현실 사회에 대해 답답함을 느끼게 만들죠.
토니 역을 맡은 ‘비고 모텐슨’은 좋아하는 배우입니다. ‘폭력의 역사’에서 가슴 속에 위험을 감추고 있는 남자를 정말 잘 연기했고, 반지의 제왕에서 아라곤은 말이 필요없을 정도입니다.
이 작품의 재미있는 점은 영화 제목이 ‘그린북’인데도 실제 작품 안에서는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 드러나지 않는 ‘그린북’이 전하고자 하는 메세지가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린북은 흑인들이 여핼할 때 머물수 있는 식당과 숙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책입니다만, 실제로 이런 류의 책이 존재하는 현실 자체가 매우 거북스럽습니다. 미국의 지난 부끄러운 과거이기도 한데, 또 한편 그린북은 그린북이 안전을 보장해주는 장치가 아니라 백인들의 편의를 위해 만들어진 책이라는 이중성도 엿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흑인을 향한 경찰의 위압적인 폭력, 식당과 호텔의 우아하지만 기만적인 차별과 시비를 보고 있노라면 그린북은 그 어떤 것도 막아주지 못하는 정치적 장식일 뿐입니다.
이런 면에서 보면 극단의 분열로 치닫는 한국 사회 역시 그린북이 필요할 지도 모르겠습니다. 한국에서 일하는 외국인 노동자들에 대한 멸시와 차별은 말할 것도 없고 한국인들 사이에서도 남과 여, 장애인과 비장애인, 부자와 가난한 자, 서울과 지방 등등 가능한 편을 가르고 나와 다른 사람들은 철저하게 무시하는 사회가 되가고 있습니다.
이 영화가 내내 보여주는 대로 차이보다는 공통점을 찾아야 하고 나보다는 우리를 먼저 생각하는 관용이 정말로 필요한 때입니다.
인터넷 서비스 전문가.
전자상거래와 마케팅, 디지털 컨텐츠, 앱스토어, 모바일 게임에 20년 간의 경력이 있습니다. 최근에 노동조합 전임자 생활을 시작했습니다.
삶에는 후회가 없게, 죽음에는 두려움이 없게. 세번째의 암과 싸우는 cancer survivor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