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학교 독문과 김누리 교수의 특강이 있었다.
‘대한민국 대전환’이라는 주제였는데 ‘대한민국은 대전환이 필요하다’는 뜻이었다.
- 세계에 7개국만이 30-50클럽에 들어가 있는데, 30-50 클럽은 인당 소득 3만불 이상, 인구 5천만 이상의 국가를 의미한다. 대한민국은 최근 30-50 클럽에 들어갈만큼 성장했다.
- 다른 6개국(미, 영, 독, 프, 일, 이)과 다른 점은 한국은 제국주의의 역사가 없다는 점이다.
- 그러나 한국은 매우 힘든 사회.
- 자살률 세계 1위, OECD 평균의 5배 ~ 10배, 자살하는 사람들의 99%는 생존의 문제이고 이는 사회적 타살로 보아야 함
- 노인 빈곤률 50%
- 20대 자살률 54%
- 10대 아동 우울증 세계 1위
- 근대 국가의 모든 비극을 겪은 나라: 식민지배, 분단체제, 내전, 독재
- 토마 피케티. 프랑스의 불평등 연구소.
- 모두가 ‘공정’을 이야기하지만 공정은 정의의 덫. 가장 보수적인 단어
- 이미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공정하다면, 기득권이 계속 이익을 보는 구조가 되고
- 공정이 불평등을 합리화하는 무기로 사용되며
- 공정은 가치가 아니라 기본적으로 따라야 할 규범
- world value society: 세계 108개국의 사회과학자들이 모인 연구 단체, 6년마다 각국의 사회가 추구하는 가치를 조사.
- 임금이 평등하게 지급되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 한국은 평등하게 지급되어야 한다 24%, 더 차별되어야 한다 59% (이는 6년 후에 12%, 65%로 더 심화)
- 한국은 불평등에 저항하지 않는 것을 넘어 차별을 선호하고 사랑하는 수준으로 변질
- 노동자가 죽는 비율, 23년간 1위 (연평균 2,000명 사망)
- 유럽에서는 영국이 비슷한 수준이었는데, ‘기업 살인법’을 입법하고 처벌 수위를 살인에 준하는 것으로 높이면서 3년 후에 매우 낮아짐
- 한국은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이 입법되다가 유명무실해지고 있음
- 이런 불평등의 핵심 원인은 분단으로 생각한다
- 국민주권과 민족자결권이 없고
- 분단 체제로 사회는 가장 보수적인 정치지형을 갖게 됐음
- 한국, 미국, 멕시코. 이 세나라는 사회주의 정단이 없음 (도서. 미국 예외주의)
- 세계에서 가장 보수적인 나라는 미국인데, 한국은 이보다도 보수적
- 샌더스의 정책은 대학 무상교육, 대학생 부채탕감, 부유세 도입 등 불평등을 개선하기 위한것인데 한국에 이런 정책은 없음
- 국민의힘-민주당—진보당—메르켈 총리: 한국의 진보당은 독일에서 가장 보수적인 당보다도 보수적인 현실
- 야수자본주의(독): 자본주의를 그냥 내버려두면 인간을 잡아먹고 다닌다는 의미
- 자유시장경제 vs. 사회적 시장경제: 자본주의의 불평등과 실업의 문제를 ‘정의로운 조세’로 국가가 관여하여 해결하는 것이 사회적 시장경제
- 자본주의는 상시적으로 5% ~ 8%의 실업률을 가지고 이는 개인의 문제가 아님
- 한국은 300명의 국회의원 중 296명이 자유시장경제를 지지하나 독일은 640명의 국회의원 중 자유시장경제를 지지하는 사람이 0명
- 사회적 시장경제 (정의로운 조세) > 사회주의적 시장경제 (교육, 의료, 주거는 국가가 책임) > 생태적 시장경제 (녹색당) > The Left (시장 경제 반대)
- 한국은 군사독재가 자본독재로 이양되었고 최근의 검찰독재는 자본 독재가 고도화되는 양상으로 보아야 함
- 자본독재의 핵심은 ‘자기 착취’ 사람들 스스로가 자본과 동일한 입장을 취하게 만들어 착취의 본질을 회피함
- 결국 노동자의 입장을 대변하는 정당이 필요한데 현재의 소선구제로는 거의 불가능
- 총선의 경우 투표율 60%에 40% 득표 시 당선되는데, 이는 60% * 40% = 24%의 민심만 반영되는 결과
- 유권자 전체의 투표가 힘을 얻을 수 있는 선거구 개정이 필요하고 다음 선거에는 선거법 개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함
인터넷 서비스 전문가.
전자상거래와 마케팅, 디지털 컨텐츠, 앱스토어, 모바일 게임에 20년 간의 경력이 있습니다. 최근에 노동조합 전임자 생활을 시작했습니다.
삶에는 후회가 없게, 죽음에는 두려움이 없게. 세번째의 암과 싸우는 cancer survivor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