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 생각 없이 집어든 책인데, 산업 디자이너의 역할이 무엇인지 그리고 얼마나 중요한 지 알게 되었다.
사람들이 개별적으로든 집단으로든, 우리가 만든 물건에 올라타거나, 깔고 앉거나, 쳐다보거나, 활성화하거나, 작동시키는 등 어떤 방식으로든 개별적으로 혹은 집단으로 사용을 할 것이라는 사실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사람들이 제품과 접촉할 때 마찰이 발생한다면 그 산업디자이너는 실패한 것이다. 반면, 제품과 접촉할 때 사람들이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고 효율적이라고 느끼며 구매 욕구가 든다면, 혹은 단지 더 행복해진다면 그 산업디자이너는 성공한 것이다
헨리 드레이퍼스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 1950년 11월
다빈치가 산업 디자이너였다는 주장도 매우 재미있었다. 다빈치가 1517년에 현대의 비행기를 그려낸 것처럼, 그가 만일 현세에 와있다면 아마도 2391년의 우주선을 그리고 있을 것이라는 이야기였다.
지은이는 사용자를 위한 제품이 무엇인지 설명하기 위해 매우 단호하고 결정적인 말들을 자신감 있게 외치고 있다. 마치 그는 제대로 작동하고 이용하기 위해서는 책의 논조 조차도 이렇게 설계되어야 한다고 말하는 듯 하다.
‘디자인’이라는 단어는 결코 산업디자이너의 모든 업무를 표현해주는 단어가 아니다. 그 사전적 의미인 ‘목적을 위해 고안하다’는 말은 공학자나 건축사, 광고기획자, 에술가, 그리고 양재사에게도 동등하게 적용된다. 자격을 부여하는 ‘산업’이라는 단어 또한 우리가 하는 일을 명확하게 좁혀주진 않는다. 하지만 이를 대신할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기엔 이미 늦었다.
인터랙션 디자이너라든가 Uer eXperience 전문가라거나 혹은 다른 표현을 사용한다 해도 그것이 의미를 온전히 대신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동의한다. 그러나 공학자부터 양재사에게까지 적용되는 어떤 개념이라면 그것은 이미 특정한 직업군을 의미하는 것이라 무엇인가를 생산하고 만드는 사람이라면 모두 가지고 있어야 하는 기본적인 자질과 태도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했다. 특히나 아직도 ‘사용자의 경험을 설계’하고 있는 나로서는 흥미로운 지적이었다.
인터넷 서비스 전문가.
전자상거래와 마케팅, 디지털 컨텐츠, 앱스토어, 모바일 게임에 20년 간의 경력이 있습니다. 최근에 노동조합 전임자 생활을 시작했습니다.
삶에는 후회가 없게, 죽음에는 두려움이 없게. 세번째의 암과 싸우는 cancer survivor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