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면을 가득 차지하는 인터넷 신문의 광고는 정말로 어떻게 해 볼 여지가 없을까?
눈길을 끌기 위해 선정적이고 조악한데다가 우연한 클릭을 유도하기 위해 화면의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여러 광고들이 언론사 생존을 위한 수익 때문이라는 것은 알겠지만, 그 거슬림의 정도가 너무 심해 다시는 그 페이지를 열기 싫을 정도가 됐다.
오마이뉴스는 그나마 좋은 기사가 많아 자주 찾는 곳이지만, 오늘은 너무 답답한 마음에 스크린샷을 몇장 찍었다.
- 상단 배너는 가뜩이나 좁은 모바일웹 화면을 크게 잡아먹었다.
- 좌하단의 동그란 배너는 계속 기사를 가린 채 따라다니고, 광고를 없애기 위해 x버튼을 눌러도 두번에 한번은 광고 사이트로 넘어가 버렸다.
- 하단의 직사각형 배너도 마찬가지.
- 기사를 한문단 쯤 읽어가면 스르륵 기사 사이로 새로운 광고가 큼지막하게 등장한다. 역시 아무 생각없이 화면을 스크롤 하던 중에 의도하지 않게 광고 사이트로 넘어가게 된다.
이런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사파라 브라우저의 좋은 기능이 있다. ‘읽기 도구 사용’
- 일단 사파리 브라우저로 내보내기를 선택하고, 사파리 브라우저 상단에 있는 ‘읽기 도구’ (URL 입력 창 왼쪽 끝에 삼선)를 누른다.
마침내 편안하게 볼 수 있게 되었다.
사용자 입장에서 좋은 글을 방해 없이 읽고 싶은데, 언론사는 광고를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어떻게 해결할까 싶어 인터넷을 좀 뒤져봤으나 만만치 않다. 아니 매우 어렵다.
열독률은 1998년 83.8%에서 2014년 30.8%로 내려 앉았고 그에 따라 광고료, 구독료 모두 대폭 줄어든 상태. 더군다나 인터넷 독자들은 돈을 내고 기사를 읽지 않는다.
관련링크 : 뉴스 유료화의 10가지 문제와 그 안타까운 사례들
결국 디지털 시대에 언론사가 살아 남을 수 있는 길은 기업을 조져 광고비를 받아내거나 조지지 않는 대신 협찬을 받거나 기업 홍보실의 작업 기사를 내보내고 댓가를 받는 등 기괴하고 낙후된 방식 밖에 없는 상황이다. (참고 글 : [특집] 언론사 수익모델 변화와 전망 )
많은 언론사들이 저널리즘 밖에서 수익모델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이렇다 할 성공 사례는 보이지 않는다. (관련 글 : 디지털 시대, 언론사 수익 무엇으로 창출해야 할까)
이런 상황에 CPM 방식의 헐벗은 광고 노출을 뭐라고 할 수 있나 싶기도 하지만, 사용자는 언제나 원하지 않는 것을 피해가는 방법을 알고 있다.
덧. 2016.6.20
2013년 제프 베조스가 인수한 워싱턴 포스트가 3년만에 뉴욕타임주의 디지털 방문수를 넘어섰다는 소식. 인수 이후 베조스는 여러가지 분석툴을 개발하여 기자들이 A/B 테스트를 활용하여 트래픽이 더 발생하는 타이틀과 기사를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준 모양. 여러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트래픽을 모은 것은 잘 알겠는데, 그래서 워싱턴포스트의 실적은 어떻게 되가고 있는걸까?
인수 전 과거 실적은 이렇다.
ㄴ 왼쪽 매출 그래프를 보면 40억불 정도의 매출이 발생하고 있다. 오른쪽 신문사업부의 손실은 모든 언론사가 마찬가지일터이니 통과.
인수 후 실적은 이렇다.
ㄴ 매출은 찾을 수가 없었지만, 순이익은 2014년 130억불로 개선되다가 2015년에 적자로 다시 돌아섰다.
ps. 혹시, EDGAR에서 매출 지표는 어떻게 찾는 지 아시는 분 있으시면, 덧글 좀 부탁드립니다.
인터넷 서비스 전문가.
전자상거래와 마케팅, 디지털 컨텐츠, 앱스토어, 모바일 게임에 20년 간의 경력이 있습니다. 최근에 노동조합 전임자 생활을 시작했습니다.
삶에는 후회가 없게, 죽음에는 두려움이 없게. 세번째의 암과 싸우는 cancer survivor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