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회사에서) 일의 정의

  • yoda 

w=f*s
물리학에서 일은 힘이 가해진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로 정의되지만, 회사에서 일의 정의는 좀 다르다.
w=p/t (p=performance, t=time)
즉 회사에서의 일은 성과를 시간으로 나눈 것이라고 생각한다.
즉 성과가 크면 클 수록 수행한 일도 비례해서 커지는 것이고, 같은 성과를 냈더라도 시간이 많이 걸리면 그만큼 일은 적게 했다고 (혹은 일의 가치가 떨어진다고) 볼 수 있겠다. 물론 성과가 없다면 일의 양도 없다.
가끔씩 일에 대한 정의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자신의 업무를 제대로 측정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만나곤 하는데, 그럴 때 종종 예시로 드는 정의이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 대륙에 냉장고를 파는 일(w)을 한다고 했을 때 성과(p)는 아프리카에 판매된 냉장고의 수량이라 정의할 수 있고 그  KPI 역시 국가별 판매량 정도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냉장고를 팔기 위해 우리는 아프리카 어느 나라에 시장 조사를 위한 출장을 가고, 현지인과 인터뷰를 하고, 판매처를 알아보고, 운송 루트를 확인하겠지만 그것만으로는 일을 했다고 볼 수 없다. 왜냐하면 실제로 냉장고의 판매대수는 0이기 때문이다.
냉장고를 보다 빨리 제대로 판매하기 위해 사전 작업을 하는 것이지만, 그 일은 냉장고가 판매되기 시작할 때에 비로소 성과에 포함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A는 냉장고 1,000대를 판매하는 데에 1개월이 걸렸고, B는 냉장고 1,000대를 판매하는 데 5개월이 걸렸다고 하자. 누가 일을 더 잘 한 것일까?
산술적으로는 A의 성과가 5배쯤 낫다고 볼 수 있지만, 사실 대부분의 시장 개척은 장기적인 관점의 업무 수행이 필요하기 때문에 1년이나 2년 후의 결과를 보고서야 제대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전략은, 이런 단계별 업무를 잘 정의하는 것이라 볼 수 있고 그것은 좀 더 다른 영역이기도 하다.
중요한 것은 ‘이런 일을 했어요’라고 말하기 전에 그것이 정말 일인지 아닌지 제대로 정의해보는 것이다.


이런 얘기를 길게 풀어 쓰는 까닭은 일을 하지 않았는데 했다고 주장하거나, 일을 해야 하는데 가이드나 정책, 개발 편의성 등을 운운하면서 일을 하지 않거나 혹은 하지 못하게 하는 경우가 꽤 많기 때문이다.

태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